위고비, 오젬픽, 모운자로 같은 GLP-1 유사체를 사용하다 보면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증상이 있습니다.
바로 복부 팽만감, 속쓰림, 트림입니다.
이런 증상들은 식사 자체가 고역이 되거나, 사회 생활에서 당황스러운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요? 그리고 어떻게 완화할 수 있을까요?
함께 읽으면 위고비, GLP-1 에 대해 이해가 깊어지는 포스트 >>>
GLP-1 과다 작용의 위험, 위고비의 위험한 부작용 11가지
GLP-1 위고비의 부작용, 심한 오심(구역질)과 구토 증상과 기전 그리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GLP-1 위고비 부작용, 식욕이 너무 줄면 생기는 진짜 문제들- 근손실과 영양 불균형, 기아모드
GLP-1 위고비 부작용, 위 마비 (발생 기전과 대처 방법)
증상이 생기는 이유: 위장관은 왜 느려질까?
GLP-1 유사체가 체내에서 작동하는 방식은 매우 과학적이지만, 동시에 우리 소화 시스템엔 예사롭지 않은 변화를 가져옵니다.
1. 위 속 음식이 오래 머무르면?
GLP-1은 위 배출을 지연시킵니다.
그래서 음식이 위에 너무 오래 머물게 되면,
원래는 대장에서 일어나야 할 발효 현상이 위나 상부 소장에서 시작되는것이죠.
그 결과, 음식 속 탄수화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수소, 메탄,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가 다량 생성됩니다.
이게 바로 복부 팽만감과 잦은 트림의 주범입니다.
게다가 위장 근육의 움직임도 느려지기 때문에, 생긴 가스가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속에 머무르면서 불편함이 더욱 커지죠.
2. 위가 꽉 차면 위산이 거꾸로 올라온다?
음식물이 정체되면 위 내부 압력이 올라갑니다.
그러면 식도와 위 사이를 막고 있는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위산이나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이게 바로 속쓰림의 원인입니다.
특히 식사 후 눕거나 허리를 굽히는 자세는 역류를 더 악화시킵니다.
그래서 야간에 속쓰림이 심해지는 분들, 또는 운동 중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가 흔한 거죠.
3. 전체 소화기관이 느려지면?
GLP-1은 위뿐 아니라 소장과 대장의 연동운동도 함께 억제합니다.
이 때문에 장 전체에 걸쳐 가스가 한 곳에 머무르게 되고,
그게 다시 위로 올라오면서 트림이 심해지고, 복부 팽만감도 심해지는 겁니다.
또한 미주신경을 조절하면서 위장관의 감각 신경이 예민해지기도 해요.
그래서 실제로 팽만 정도는 크지 않은데도 더 심하게 느껴지거나 불쾌감이 과도하게 증폭되기도 합니다.
단기와 장기 복용, 어떻게 다를까?
🕐 단기 (1~2주)
- 복부 팽만감
- 트림
- 속쓰림
초기엔 위가 놀라듯 반응하면서, 식욕 자체가 줄고, 식사 후 무거움 때문에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 장기 (수 주~수 개월 이상)
- 기능성 소화불량
(구조 이상은 없는데 만성적인 팽만, 속쓰림, 소화불량) - 만성 GERD(위식도 역류질환)
(야간 속쓰림, 목의 이물감, 기침, 심하면 바렛식도 같은 합병증까지) - 일상 기능 저하
피로감, 업무 집중력 저하, 사회적 불편감 등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줍니다.
증상 완화를 위한 실천 전략
1. 식사 패턴 조절
- 소량씩 자주 먹기
하루 3끼 대신 5~6끼로 나누어, 위에 부담을 덜 주세요. - 소화 잘 되는 음식 위주로
미음, 익힌 채소, 죽 등 부드러운 음식이 좋아요.
반면 기름진 음식, 생야채, 콩류, 탄산음료는 가스 생성과 팽만감을 악화시켜요.
2. 식사 방법 개선
- 천천히, 꼭꼭 씹기
한 입에 20~30번 이상 씹는 것이 기본!
급하게 먹으면 공기를 삼키게 되어 트림이 심해질 수 있어요. - 식사 중 대화 자제
말하며 먹으면 공기를 더 많이 들이마시게 됩니다.
3. 식후 자세와 생활 습관
- 식후 2시간은 눕지 말기
가벼운 산책이나 앉은 자세 유지가 좋아요. - 수면 시 상체 높이기
침대 머리를 10~15cm 정도 올리면 위산 역류를 막을 수 있어요. - 복부 압박 피하기
꽉 끼는 옷은 복부 압력을 높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요.
4. 필요 시 약물 병용 고려
- PPI(프로톤펌프억제제): 속쓰림 완화용
- 돔페리돈, 시메티콘: 위장 운동 촉진 및 가스 제거
- 프로바이오틱스: 장내 미생물 균형을 잡아 가스 생성을 줄여줄 수 있어요
5. GLP-1 용량 조절
- 증상이 심해지고 일상에 지장이 있다면,
용량을 감량하거나 투약 간격을 늘리는 방법도 고려해보세요.
반드시 의사와의 상담이 우선입니다.
🙋♀️ 실생활에서 이런 불편, 느껴보셨나요?
- 회의 중 계속 나오는 트림으로 당혹스러웠던 적 있으신가요?
- 밥 먹고 나면 배가 불러서 아무것도 못 하겠다는 느낌, 공감하시나요?
- 밤에 속쓰림 때문에 자주 깨거나 잠을 설치는 경우도요.
이런 증상들이 반복되면 단순한 불편을 넘어,
정신적 피로, 활동성 감소, 사회적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마비 같은 다른 소화기 질환과 겹치면 복합적인 문제로 확대될 수도 있어요.
📌 이 글의 핵심 3줄 요약
- GLP-1 유사체는 위장관 운동을 억제해 복부 팽만감, 속쓰림, 트림을 유발할 수 있어요.
- 증상이 장기화되면 기능성 소화불량이나 만성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식사 습관, 생활 패턴, 필요시 약물 병용을 통해 증상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어요.
출처
- Halawi H, et al. (2017). Effects of liraglutide on weight, satiation, and gastric functions in obesity: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The Lancet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2(12), 890-899. - GLP-1이 위장관 운동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 확인 연구
- Rehfeld JF. (2018). The origin and understanding of the incretin concept. Frontiers in Endocrinology, 9, 387. - 음식물 정체로 인한 비정상적 발효와 가스 생성 과정 연구
- Bytzer P, et al. (2020).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a population-based survey of 15,000 adul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16), 1947-1953. - GLP-1 유사체와 위식도 역류 증상의 연관성 분석
- Marathe CS, et al. (2016). Effects of GLP-1 and incretin-based therapies on gastrointestinal motor function. Experimental Diabetes Research, 2016, Article ID 2834685. - GLP-1이 위장관 전체 연동운동을 억제하는 영향 연구
- Trahair LG, et al. (2017). Effects of GLP-1 on gastric emptying, antropyloroduodenal motility, and plasma glucose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45(6), e616-e624. - GLP-1과 위장관 감각 신경 과민성 연관 연구
- Bhalla R, et al.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glucagon-like peptide-1 and functional dyspepsia. Neurogastroenterology & Motility, 31(6), e13570. - 장기간 GLP-1 사용과 기능성 소화불량 발생의 상관관계 분석
- Blondeau K, et al. (2018). Gastro-oesophageal reflux and gastric emptying in relation to weight loss after incretin-based therapies.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48(11-12), 1213-1223. - GLP-1 유사체 사용과 만성 GERD 악화 위험성 연구
- Meier JJ, et al. (2018). Impact of incretin-based therapies 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symptoms. Diabetes Care, 41(10), 2112-2121. - 소량씩 자주 먹는 식사 패턴의 GLP-1 부작용 완화 효과 연구
- Jorsal T, et al. (2018). GLP-1 receptor agonists and gastroparesis risk. Diabetes Care, 41(9), 1845-1852. - 식후 체위 관리가 GLP-1 관련 위장관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
- Steinert RE, et al. (2016). Proton pump inhibitor co-therapy during GLP-1 receptor agonist treatment.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8(6), 603-610. - PPI와 GLP-1 유사체의 병용 요법 효과 분석
'대사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고지가 나한테 맞나? 내 몸이 보내는 신호 읽는 법 (0) | 2025.05.18 |
---|---|
GLP-1 위고비 부작용, 위 마비 (발생 기전과 대처 방법) (0) | 2025.05.16 |
GLP-1 위고비 부작용, 식욕이 너무 줄면 생기는 진짜 문제들- 근손실과 영양불균형, 기아모드 (0) | 2025.05.15 |
GLP-1 위고비의 부작용, 심한 오심(구역질)과 구토 증상과 기전 그리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0) | 2025.05.14 |
내 증세는 폐경(완경)기 증상일까? 갑상선 항진일까?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