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사 건강

GLP-1 과다 작용의 위험, 위고비의 위험한 부작용 11가지

by editer 존투 2025. 4. 30.
반응형

최근 들어 다이어트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이 있죠.
바로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는 GLP-1 작용제, 그리고 그 중 대표격인 위고비(Wegovy)입니다.

하지만, '혁신'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이 약물은 때론 예상 밖의 그림자를 드리우기도 합니다.
특히 단순히 체중 감량만을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그 대가가 꽤 클 수도 있거든요.
실제로 수많은 위고비 사용자 후기를 보면, 살은 빠졌지만 몸은 고생했다는 이야기가 적지 않습니다.

그럼, GLP-1 계열 약물 위고비를 사용할 때 조심해야 할 부작용 11가지를 하나씩 짚어볼게요.

꼭 필요한 사람이, 점진적으로 늘려 사용해야하는 위고비


1. 끈질긴 오심(구역질)과 구토

GLP-1은 위장 운동을 느리게 만들어 식욕을 억제하죠. 하지만 이게 지나치면 문제입니다.
음식이 위에 오래 머물다 보니 지속적인 메스꺼움, 때론 구토까지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위고비 복용 초기에는 이런 증상이 몇 날 며칠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부작용으로 일상이 망가질 정도입니다. 
구토 증상은 위가 상할 뿐아니라 식도도 위산으로 인해 많이 손상되고, 목에 가래가 끼는 등 호흡기 건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지속적인 식욕 저하와 그로인한 영양 불균형

강력한 식욕 억제 효과 덕분에, 밥 생각이 정말 안 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게 영양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예요.
특히 정상 체중 이하거나 근육량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근감소증이나 면역력 저하 위험도 커집니다. ‘계속 안 먹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식욕이 사라지기도 하는데, 이 효과는 약을 끊고 나서도 한동안 지속되기도 합니다.

근손실이 위고비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꼽히기도 하는데요, 나름 필수적인 건 다 먹고있는 것 같은데 왜 근손실이 오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양소 섭취의 근본인 식욕을 덜 느끼기때문에 오히려 이전보다 더 신경써서 식사를 하지 않으면 영양의 불균형이 생기는 것은 불보듯 뻔한 일입니다. 


3. 음식을 먹어도 소화가 안 되는 위마비(gastroparesis)

위 배출이 너무 느려지면 위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식사 자체가 고통이 될 만큼 소화 불능 상태를 호소하죠.
만성화되면 단순한 부작용이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 되기도 해요.


4. 복부 팽만, 속쓰림, 트림으로 대표되는 복부 불편감

장이 제때 움직이지 않으니, 소화 과정에서 생긴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속에 차오릅니다.
그래서 복부 팽만, 속쓰림, 트림, 심하면 배 아픔까지 동반되죠.
식사 후 몇 시간 동안 불쾌감이 계속되기도 하고요.


5. 장 운동성 변화로 인한 설사 혹은 변비

GLP-1은 장의 운동성까지 영향을 줍니다.
어떤 사람은 설사를, 또 다른 사람은 심한 변비를 겪기도 하죠.
수분 섭취가 부족한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지기도 하고요. 특히 지방이 많은 음식은 장을 더 자극할 수 있으니 피하는 게 좋아요.


6. 저혈당 ( 당뇨약과 함께 쓸 땐 더 조심)

GLP-1 단독 사용만으로는 보통 저혈당이 잘 생기지 않지만,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이나 설포닐우레아 계열 약물과 병용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GLP-1 위고비도 인슐린을 자극하기 때문에 당뇨약이 인슐린을 중복자극하게 되는 것이죠.
특히 식사를 거르거나 몸무게가 적을 경우엔 더 위험합니다.

어지러움, 식은땀, 심장이 두근거린다면 빨리 당을 보충해야 해요.
(살이 빠지는 것 같다고 속으로 기뻐하지말고요! 그런 생각이 드는 건, 저혈당으로 뇌에 영양이 못 가서 판단력이 흐려진 겁니다!)


7. 췌장염

복통과 구토가 심하고, 피검사에서 아밀라아제나 리파아제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의심해볼 수 있는 게 바로 췌장염입니다. 아밀라아제나 피파아제는 췌장의 소화효소입니다.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췌장이 과로하고 있다는 뜻이죠. (앞서 GLP-1 위고비가 인슐린을 자극한다고 했죠? 인슐린 자극도 췌장을 자극합니다.) 

GLP-1 작용제가 직접적인 원인인지는 논란이 있지만, 일부 보고에서는 고용량 사용 시 급성 췌장염 위험이 증가한다고 해요.


8. 담낭질환

살이 급격히 빠지면 담즙 정체가 생기고, 결국엔 담석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일부는 담낭염으로 악화돼서 수술까지 필요할 수도 있어요.
장기 복용 중인 분들은 복부 통증이나 발열이 있다면 꼭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9.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계속되는 설사나 구토는 체내 수분과 전해질을 앗아갑니다.
피로, 어지러움, 근육경련은 물론, 심하면 심장 리듬 이상까지 생길 수 있죠.
어떤 분들은 두통의 원인이 단순 스트레스가 아니라 이 전해질 불균형 때문이기도 합니다.


10. 심리적 영향과 식이장애 위험

식욕 억제가 심해지면, 때론 식사 자체가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도 있어요.
일부는 강박적인 식단 조절, 나아가 식이장애로까지 이어지기도 하죠.
게다가 GLP-1은 기분 조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호르몬이라서, 불면이나 기분 저하를 호소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11. 중단 후 폭발적 식욕과 요요 현상

위고비를 끊은 후 식욕이 폭발적으로 되살아나는 현상, 들어보셨나요?
위고비 단약 후 주체할 수 없는 식욕으로 음식을 먹게된다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폭발한 식욕으로 체중이 이전보다 더 늘어나는 것. 이른바 ‘요요현상’입니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약물 중단 후 1년 내에 감량한 체중의 60~70%가 다시 증가할 수 있다고 해요.
결국, 약 없이도 유지할 수 있는 생활습관 기반의 체중 감량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누구에게 필요한 약일까요?

GLP-1 작용제 위고비는 분명 많은 사람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에는 항상 ‘적절한 대상’과 ‘명확한 목적’이 필요하죠.

BMI가 정상 이하이거나 단지 미용 목적이라면, 부작용 위험이 효과를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체중 감량, 중요한 목표지만 건강한 정도의 체중은 약물 하나로 완성되지 않는 걸 잘 아실겁니다.
약물은 어디까지나 도움의 수단이지, 해답 그 자체는 아니라는 점.

이건 꼭 기억하고 위고비 처방을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 이 포스트의 3줄 요약

  • GLP-1 작용이 과도하면 위장관 부작용부터 담낭질환, 췌장염까지 다양한 신체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정상 체중인 사람의 GLP-1 사용은 영양 불균형, 근감소증, 심지어 식이장애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약물 중단 시 폭발적인 식욕 반등과 요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점진적 감량과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출처
  1. Nauck MA, Meier JJ. Management of endocrine disease: Are all GLP-1 agonists equal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Eur J Endocrinol. 2019;181(6):R211-R234. doi:10.1530/EJE-19-0566 - GLP-1 계열 약물 종류별 비교 및 각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 프로필 차이점 분석
  2. Filippatos TD, Panagiotopoulou TV, Elisaf MS. Adverse Effects of GLP-1 Receptor Agonists. Rev Diabet Stud. 2014;11(3-4):202-230. doi:10.1900/RDS.2014.11.202 -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위장관 부작용 및 췌장염, 담낭질환 위험성에 대한 포괄적 리뷰
  3. Faludi P, Brodows R, Burger J, Ivanyi T, Braun DK. The effect of liraglutide treatment on gastroenteropancreatic and other hormones. Diabetes Metab Res Rev. 2017;33(8):e2926. doi:10.1002/dmrr.2926 - GLP-1 작용제의 호르몬 변화 영향 및 위장관 운동성 저하 기전 연구
  4. Mehta A, Marso SP, Neeland IJ. Liraglutide for weight management: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Obes Sci Pract. 2017;3(1):3-14. doi:10.1002/osp4.84 - 위고비 식욕 억제 효과와 체중감량 성공 사례 및 안전성 프로필 분석
  5. Wilding JPH, Batterham RL, Calanna S, et al. Once-Weekly 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N Engl J Med. 2021;384(11):989-1002. doi:10.1056/NEJMoa2032183 - GLP-1 다이어트 효과와 약물 중단 후 체중 변화 패턴 및 요요현상에 대한 임상 데이터
  6. Lingvay I, Sumithran P, Cohen RV, le Roux CW. Obesity management as a primary treatment goal for type 2 diabetes: time to reframe the conversation. Lancet. 2022;399(10322):394-405. doi:10.1016/S0140-6736(21)01919-X - GLP-1 약물의 장기 복용 위험성 및 복부 불편감, 장 트러블 발생 메커니즘
  7. Drucker DJ. Mechanisms of Ac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Glucagon-like Peptide-1. Cell Metab. 2018;27(4):740-756. doi:10.1016/j.cmet.2018.03.001 - GLP-1 작용 기전 및 위마비, 위장관 운동성 변화와 같은 위장관 부작용의 분자 생물학적 근거
  8. Wadden TA, Bailey TS, Billings LK, et al. Effect of Subcutaneous Semaglutide vs Placebo as an Adjunct to Intensive Behavioral Therapy on Body Weight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The STEP 3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21;325(14):1403-1413. doi:10.1001/jama.2021.1831 - 위고비 사용에 따른 심리적 영향, 복용 중 금기 음식 및 부작용 대처법에 관한 임상 지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