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 연구와 뉴스

뇌 노화, 44세에 확 늙기 시작해 67세에 더 급속한 노화. 지연 방법은 ‘케톤’

by editer 존투 2025. 3. 17.
반응형
 

뇌 노화, 44세에 ‘구부러짐’ 시작해 67세에 ‘뚝’…지연 방법은 ‘케톤’

뇌 노화가 나이에 비례해 진행하는 선형이 아니라 S자 형태의 비선형 경로를 따르며, 세 번의 중요한 전환점이 있다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www.donga.com

 

뇌 노화는 선형이 아닌 S자 패턴, 40대 중반에 시작되는 '구부러짐' 케톤으로 늦출 수 있다!

먼저, 이 기사 내용 요약.

  • 인간의 뇌 노화는 선형이 아닌 S자 비선형 경로를 따르며, 44세, 67세, 90세에 세 번의 중요한 전환점이 있음
  • 뇌 노화의 첫 번째 변곡점인 44세(구부러짐 단계)에 개입하면 인지 저하를 상당 기간 늦출 수 있음
  • 케톤 공급이 특히 40~59세에서 뇌 네트워크 퇴화를 안정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60세 이후에는 효과가 급격히 감소함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고 주름이 깊어지는 외적 노화는 눈에 보이지만, 뇌의 노화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최근 미국 뉴욕주립 대학교 연구팀이 우리가 생각했던 뇌 노화의 패턴이 완전히 다르다는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뇌 노화는 선형적이지 않고 S자 형태로 진행됩니다. 릴리안 R. 무히카-파로디 박사 연구팀은 1만 9300명 이상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했죠.

뇌 노화의 세 가지 변곡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세 번의 중요한 변화를 겪습니다.

첫 번째는 44세로, 이때 뇌가 '구부러지기' 시작합니다. 40대 초반까지 안정적이던 뇌 네트워크가 처음으로 불안정해지는 시점이죠.

두 번째는 67세로, 이때 뇌는 '부러집니다'. 가장 급속한 변화를 겪는 시기입니다.

마지막은 90세로, 뇌 노화가 안정기에 접어듭니다.

중요한 점은 첫 번째 변곡점인 44세에 적절히 개입하면 뇌 노화를 상당 기간 늦출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인지 저하가 뚜렷한 60~70대가 아닌, 40대 중반부터 대응해야 효과적이라는 거죠.

뇌는 탄수화물과 지방 모두 연료로 사용하지만 지방의 대사산물인 케톤이 노화방지에 더 좋다는 연구가 이 기사의 내용입니다

뇌 노화의 주범은 인슐린 저항성, 해결책은 '케톤'

40대 중반에 나타나는 뇌 노화의 첫 변곡점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시기와 일치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포도당이 세포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해 신경 세포가 에너지 부족 상태에 빠집니다.

연구팀은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 '케톤' 공급을 제시했습니다. 케톤은 인슐린 없이도 세포가 이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이죠.

주목할 점은 케톤 효과가 연령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40~59세에서는 케톤 공급으로 인한 뇌 네트워크 안정화효과가 젊은 성인보다 85% 더 컸지만, 60~79세에서는 그 효과가 극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이유는 노년층의 신경세포가 이미 많이 노화되어 대체 연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됐기 때문입니다. 반면 포도당 보충은 어느 연령대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죠.

조기 개입의 중요성과 케톤 활용 전략

케톤 생성을 촉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요법(케토제닉 다이어트)
  2. 간헐적 단식(16:8 방식이나 24시간 단식)
  3. MCT 오일과 같은 중쇄지방산이 풍부한 식품 섭취
  4. 규칙적인 운동, 특히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HIIT)
  5.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이번 연구는 뇌 건강 관리에 있어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40대 중반부터 뇌 노화가 시작된다는 사실과 이 시기의 적절한 개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죠. 특히 케톤이라는 대체 에너지원을 활용한 접근법은 40~50대에게 매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40대 부터는 그동안 먹던대로의 식습관에서 저탄수화물 식이로 바꿔야한다는 거죠. 


📌 이 포스트의 3줄 요약

  1. 뇌 노화는 선형적이지 않고 S자 형태로 진행되며, 44세, 67세, 90세에 중요한 변곡점이 있다.
  2. 뇌 노화의 첫 번째 변곡점인 44세에 개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60대 이후에는 효과가 크게 감소한다.
  3.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인한 뇌 세포의 에너지 부족이 노화의 주요 원인이며, 케톤 공급은 40~50대에서 뇌 네트워크 안정화에 큰 효과를 보인다.

 

 

최신 뇌신경과학 연구를 기반으로 뇌 기능을 최적화하는 법

인간의 뇌는 우리가 인지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최적화하는 것은 삶의 질과 직결된다. 최근 뇌신경과학 연구는 인지 기능 향상을 넘어, 노화 방지, 감정 조절, 스트레스

iamsuperhu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