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상식

옥살산, 몸속에서 칼슘과 만나 결석이 되는 과정 완전 정리

by editer 존투 2025. 4. 22.
반응형

채소를 많이 먹는데도 신장결석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하신가요?

시금치나 견과류 같은 건강식품에 포함된 옥살산이 체내에서 어떻게 통증을 유발하는 결석으로 변화하는지,
그 형성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옥살산 많은 음식과 결석 위험의 관계,
그리고 칼슘과 옥살산의 상호작용을 통해 결석 생기는 음식 조합을 피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옥살산에 대한 이야기, 포스트 시리즈 >>>

옥살산이 많은 식재료와 옥살산이 위험한 이유! 진짜 쉽고 자세하게

그린스무디, 정말 건강할까? 조심해야 하는 이유

옥살산 걱정 없는 건강한 그린스무디 레시피 5가지

말차·코코아·홍차의 옥살산 걱정? 건강하게 마시는 라떼 가이드


건강식을 먹는데 왜 결석이 생길까? 옥살산의 함정

소변 속의 옥산칼슘 결정, 이것이 요로결석의 씨앗이 됩니다. (출처 생활백과)

옥살산과 결석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미국 비뇨기과학회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인의 약 10%가 일생 동안 최소 한 번 이상 요로결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도 식습관 변화와 함께 결석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건강한 식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옥살산 섭취가 증가할 수 있다는 역설적 상황입니다. 그린 스무디, 견과류 중심의 식단, 채식주의 등은 모두 옥살산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입니다. 채소를 많이 먹는데도 신장결석이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건강식을 피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균형 잡힌 영양 접근법, 충분한 수분 섭취, 그리고 옥살산과 칼슘의 생화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 위험을 줄이기 위한 과학적 지식에 기반한 현명한 식이 선택이 건강한 신장 기능 유지의 핵심입니다.

 

건강식이 결석을 유발할 수 있다? 옥살산이 많은 대표 식품들

옥살산(Oxalic acid)은 주로 식물성 식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이 포식자들에 대항하는 무기로서 옥살산이라는 식물독소를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대표적인 옥살산 많은 식품은 다음과 같은데요,

  • 시금치, 케일 같은 녹색 잎채소
  • 아몬드, 캐슈넛 등의 견과류
  • 초콜릿이나 코코아 제품
  • 녹차, 홍차 등 차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들이 대부분 '건강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옥살산의 위험성에 대해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이것이 채소를 많이 먹는데도 신장결석이 생기는 이유입니다. 건강 증진을 위해 섭취하는 식품에 결석의 원인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다소 역설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 신체가 식품을 통해 옥살산을 섭취할 뿐만 아니라, 일부는 체내에서 직접 생성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비타민 C의 대사 과정에서도 옥살산이 부산물로 생성됩니다. 이는 옥살산 흡수를 줄이는 법을 생각할 때 식이요법뿐만 아니라 보충제 섭취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결석을 예방하려면 옥살산과 칼슘의 관계를 알아야한다

이제 옥살산이 체내에 유입된 후 칼슘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옥살산이 많은 음식은 칼슘이 풍부한 식품과 함께 섭취하세요

 소화기관에서의 첫 번째 방어선 

시금치 샐러드를 우유 한 잔과 함께 먹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시금치에 포함된 옥살산은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장(특히 소장)에서 일부가 흡수됩니다. 나머지는 미네랄과의 결합 과정을 거쳐 대변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됩니다. 바로 이 단계에서 옥살산 흡수를 줄이는 첫 번째 기회가 있습니다.

 칼슘과 옥살산의 결정적 만남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가 있습니다. 바로 칼슘입니다! 시금치 샐러드와 우유를 마신 것, 기억하실 겁니다.

칼슘과 옥살산의 관계는 신장결석 예방에 있어 핵심 열쇠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시금치샐러드와 우유를 함께 먹은 것 처럼 함께 소화된 음식물이 장내에 충분한 칼슘이 존재할 경우, 옥살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칼슘 옥살레이트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어렵죠? 쉽게 말해 녹지않는 옥살산+칼슘 결정 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복합체는 수용성이 낮기에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이 영양학적으로 "옥살산이 풍부한 채소를 섭취할 때 칼슘이 함유된 식품을 함께 섭취하라"고 권장하는 과학적 근거입니다. 결석 생기는 음식 조합을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이것입니다. 칼슘은 자석처럼 옥살산과 딱 달라붙어 옥살산의 체내 흡수를 제한합니다.

그러나 장내 칼슘이 부족하거나 옥살산 농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옥살산은 소화과정에서 흡수되어 혈류로 흘러들어갑니다. 이렇게 흡수된 유리 옥살산(free oxalate)은 향후 체내에 쌓여 손상을 입히는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 (수산칼슘, 옥살산칼슘이라고도 말합니다)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혈액 속 옥살산, 결석의 씨앗 

혈액으로 흡수된 옥살산은 순환계를 통해 전신을 돌아다니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아직 옥살산은 단독으로는 직접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옥살산은 중요한 생화학적 특성이 있는데, 바로 미네랄과 결합하는 강한 친화성입니다. 혈액 속의 주요 미네랄(칼슘, 마그네슘, 철 등)과 결합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앞서 위장에서 칼슘과 착, 하고 붙어 대변으로 배출된다고 했죠? 옥살산이 칼슘같은 미네랄과 쉽게 결합하는 이 성질, 

이러한 현상을 '킬레이트화(chelation)'라고 하며, 이는 옥살산이 체내 미네랄을 '포획'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체내 미네랄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미네랄 결핍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몸이 미네랄을 흡수해 써야하는데 옥살산과 결합해버리면 신체는 미네랄을 사용할 수가 없죠. 

특히 혈액 내 옥살산이 칼슘 이온(Ca²⁺)과 만나면 칼슘 옥살레이트(calcium oxalate)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옥살산은 다른 미네랄들보다 칼슘과 제일 먼저, 그리고 안정적으로 결합하는데요. 이것이 바로 가장 흔한 신장결석의 종류인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의 시작점입니다. 이 복합체는 우리 신체 내에서 두 가지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1. 수용성 상태: 이 경우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됩니다.
  2. 녹지않는, 불용성 상태: 이 상태부터 신체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결석 형성의 첫 단계가 됩니다.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 형성과정: 분자에서 결석으로  커진다 

칼슘 옥살레이트가 실제 결석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옥살산 결석 형성과정의 핵심 단계를 살펴보겠습니다.

  • 농도 증가: 소변 내 옥살산이나 칼슘의 농도가 임계점을 초과하면 결정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수분 부족: 충분한 수분 섭취가 없으면 소변이 농축되어 결정화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 소변 pH 변화: 산성 소변은 칼슘 옥살레이트 결정 형성을 촉진합니다.
  • 억제 물질 부족: 구연산과 같은 천연 억제제가 부족하면 결정화 과정이 가속화됩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칼슘 옥살레이트는 작은 결정으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이 결정은 날카로운 바늘 형태의 구조를 보입니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결정은 요로계 조직을 자극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결석으로 인한 통증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미세 결정은 신장의 세뇨관이나 요로계의 다른 부분에 부착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칼슘과 옥살산이 축적되면서 점차 크기가 증가하여 결석으로 발전합니다. 이러한 옥살산 결석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신장결석의 증상과 건강 영향

옥살산은 결국 미세 결정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요로결석으로 성장하며, 결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작은 결석(4mm 미만)은 대개 무증상으로 자연적으로 배출됩니다. (결석의 위치, 모양, 통증민감도에 따라 아플 수도 있습니다)
  • 중간 크기 결석(4-6mm)은 간헐적 통증과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큰 결석(6mm 이상)은 심한 통증, 혈뇨,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결석이 요관을 통과하려 할 때 발생하는 통증은 '신장 산통, 신장 통증'이라 불리며, 많은 환자들이 이를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극심한 통증' 중 하나로 묘사합니다. 결석이 요로를 완전히 폐쇄하면 소변 흐름이 차단되어 신장 기능 저하나 감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채소를 많이 먹는데도 신장결석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이런 생리학적 과정 때문입니다.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음식이 오히려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은 균형 잡힌 식이의 중요성을 한 번 더 생각하게 하지요.

 

신장 결석으로 인한 통증은 많은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극심한 통증'  중 하나라고 합니다

신장결석을  예방하는 식이요법 (옥살산 흡수 줄이기)

옥살산으로 인한 결석 형성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장결석 예방 식이요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에 최소 2-3리터의 물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분은 소변을 희석시켜 결정 형성 가능성을 낮춥니다. 물 섭취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옥살산 흡수 줄이는 법입니다.
  2. 칼슘과 옥살산의 균형
    옥살산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할 때는 칼슘이 함유된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시금치 결석 위험을 줄이려면 시금치 샐러드에 치즈를 곁들이거나 아몬드를 우유와 함께 섭취하는 방식으로 결석 생기는 음식 조합을 피할 수 있습니다.
  3. 고농도 옥살산 식품 제한
    결석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시금치, 루바브, 비트 잎과 같이 옥살산 함량이 매우 높은 식품의 과도한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옥살산 많은 음식과 결석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4. 비타민 C 보충제 섭취량 조절
    과량의 비타민 C(1000mg/일 이상)는 체내에서 옥살산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5. 소변 pH 관리
    구연산 칼륨이나 구연산이 풍부한 과일(레몬, 라임 등)은 소변을 알칼리화하여 일부 유형의 결석 형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칼슘 옥살레이트 결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건강식이 결석을 부른다? 옥살산 이해가 중요한 이유

미국 비뇨기과학회 자료를 보면, 미국인 10 1명은 평생 번쯤 요로결석을 겪는다고 합니다. 시가지의 빌딩을 바라보면 "24시간 투석" 이라는 문구가 보이는 간판도 제법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건식이 널리 퍼지며 결석 환자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놀라운 , 결석을 만드는 원인 하나가 우리가 '건강하다' 생각하고 챙겨 먹는 음식들일 있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그린 스무디, 견과류 위주의 식단, 채식 중심의 식생활 등은 모두 옥살산 함량이 높은 음식들이기에
채소를 열심히 챙겨 먹는데도 결석이 생긴다면, 원인 하나가 바로 여기에 있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건강식을 피하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중요한 , 식품 성분이 우리 몸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고,
그에 맞춰 균형 잡힌 식단 수분 섭취, 그리고 옥살산과 칼슘의 상호작용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명하게 식생활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 이 포스트의 딱 한 줄 요약!

옥살산은 처음엔 그저 유기산일 뿐이지만, 칼슘과 만나고 결정화되면 ‘뾰족한 돌’이 되어 조직을 찌르기 시작한다. → 그리고 그 뾰족한 돌은 신장을 압박하고, 결국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각주
  1. Holmes RP, Assimos DG. The impact of dietary oxalate on kidney stone formation. Urol Res. 2004;32(5):311-316. doi:10.1007/s00240-004-0437-3
  2. Siener R, Hönow R, Voss S, Seidler A, Hesse A. Oxalate content of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Agric Food Chem. 2006;54(8):3008-3011. doi:10.1021/jf052776v
  3. Worcester EM, Coe FL. Calcium Kidney Stones. N Engl J Med. 2010;363(10):954-963. doi:10.1056/NEJMcp1001011
  4. Ferraro PM, Taylor EN, Gambaro G, Curhan GC. Dietary and Lifesty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ncident Kidney Stones in Men and Women. J Urol. 2017;198(4):858-863. doi:10.1016/j.juro.2017.03.124
  5. Massey LK. Food oxalate: factors affecting measurement, biological variation, and bioavailability. J Am Diet Assoc. 2007;107(7):1191-1194. doi:10.1016/j.jada.2007.04.007
반응형